이번에 Objective2 Headphone Amp(이하 O2 앰프)를 만들어 봤습니다. 줄여서 O2 앰프 라고도 불리며 O2 라는 명칭때문에 산소 앰프라고도 불리는 가성비 갑 헤드폰 앰프입니다.
O2 앰프를 간략하게 소개를 하자면 NwAvGuy라는 미국 오디오 엔지니어가 가격이 비싼 헤드폰 앰프 제품들이 그 가격에 걸맞는 성능을 못내는것에 열받아 아주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의 헤드폰 앰프를 설계해 보이겠다고 장담하고 O2 앰프를 직접 설계하고 그 설계 과정을 자신의 블로그(http://nwavguy.blogspot.kr/2011/07/o2-headphone-amp.html)에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자료와 함께 공개를 함으로써 세상에 나오게 됐습니다.(자세한 정보는 NwAvGuy의 블로그 나 구글에서 objective2 headphone amp를 검색해 보세요.)
NwAvGuy의 블로그에 가시면 회로도, PartsList(BOM), PCB 제작에 필요한 거버파일 등 O2 앰프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자료가 공개되 있습니다. 즉, O2 앰프는 오픈소스 헤드폰 앰프입니다. NwAvGuy는 자신의 설계는 변경하지 않는 조건으로 누구든 자유롭게 이용해서 O2 앰프를 만들어 쓰거나 판매를 해도 된다고 했습니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현재 O2 앰프는 제작자에 따라서 여러가지 버젼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O2 앰프의 아웃풋 임피던스는 0.54 Ohm으로 거의 제로에 가깝고 앰프 자체 노이즈도 거의 없습니다. O2 앰프의 성향은 모든 가청 주파수 대역을 플랫하게 증폭해 줍니다. 소스 입력을 아무런 가감 없이 그대로 증폭을 시켜주므로 입력소스와 헤드폰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또한 내부에 충전지를 장착할수 있어 포터블로도 사용 가능합니다만 배터리가 들어간 무게는 포터블로 쓰기엔 약간 부담스럽긴 합니다. 내부 충전지의 충전은 O2 앰프에 아답터만 꼽아 놓으면 충전이 되지만 충전 인디케이터가 없어서 충전 상황을 알수는 없습니다.
O2 앰프의 키트는 미국의 JDSLABS 와 스위스의 Head'n'Hifi 에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저역시 첫 O2 앰프는 Head'n'Hifi 에서 본체, 아답터, 배터리의 풀세트를 10만원 정도 주고 주문해서 제작했습니다. 참고로 키트 주문시 아답터를 미국식 110V 아답터를 선택하셔서 한국에서 안전사 아답터를 다시 구매하셔서 쓰시는 분들이 계신데 EU 타입 240V/50Hz 아답터를 선택하시면 한국에서도 그냥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아답터 때문에 이중으로 돈 들이지 마세요. 땜이 가능하신 분들은 키트 구입해서 만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Headphone Amplifier > Objective2 Headphone 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O2 (산소) 앰프 몇 대 추가 제작했습니다. (0) | 2015.05.07 |
---|---|
2015년에도 O2 (Objective2, 산소) 앰프 몇 대 제작했습니다. (0) | 2015.03.18 |
O2(Objective2) 앰프 추가 제작했습니다. (0) | 2014.10.12 |
직접 제작해본 5가지 색상의 Objective2 헤드폰 앰프(O2 앰프)입니다. (2) | 201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