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 설치 (OSX SIERRA 기준)

현재 최신 버전인 라즈베리파이 3 모델 B 기준으로 설명합니다.(아마 아래 버전 라즈베리파이들도 비슷하리라 봅니다.)


라즈베리파이에는 Micro SD 메모리를 저장 장치로 사용합니다.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OS 인 라즈비안의 설치를 위해서는 최소 4GB 의 Micro SD 를 권장합니다만 너무 적은 용량을 사용하면 OS 설치후 용량 부족으로 사용에 제약이 생길수 있으니 여유가 되면 좀 큰 걸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 검색해보니 128GB 도 인식 가능하다곤 하는데 64GB 이상은 특성을 탄다는 얘기가 있어서 전 32GB 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2.5인치 SATA HDD 나 SSD도 장착할 수 있는 확장 보드도 3만원 조금 안되게 구입할 수 있는데 이것도 기회가 되면 구해서 한번 써 볼 생각입니다. 


제가 맥을 사용하므로 OSX 기준으로 기술하겠습니다. (OSX SIERRA 기준)



1-1. 라즈비안 OS 다운로드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글 작성 시점(2018.2.10)엔 왼쪽엔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 과 오늘쪽엔  RASPBIAN STRETCH LITE 가 있습니다.

두 버전의 차이점은 GUI 화면의 지원입니다. 서버 용도로 텍스트 기반으로 이용하실 분들은 오른쪽 LITE 를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전 서버용도로 사용할 예정이기에 LITE 버젼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2. SD메모리 포맷하기

SD 카드가 꼽힌 SD 리더기를 컴에 연결합니다.

Docker 에서 Launchpad 를 선택하고 기타 라고 여러가지 기본프로그램들 묶음 폴더를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디스크 유틸리티가 보이면 선택하세요.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시킨후 아래와 같이 SD 카드를 선택합니다.


왼쪽에 ▼ Generic STORA... 를 선택하시고 윗부분 메뉴 중앙에  지우기  를 선택하면 포맷창이 나타납니다.

※ 제 경우엔  Generic STORA... 이고 다른분들의 경우 동일하게 안나올 수도 있으니 엉뚱한거 포맷하시면 안되고 제대로 찾아서 하시기 바랍니다.


이름은 해당 SD 메모리의 볼륨명이 있다면 넣어 주시면 됩니다. 포맷은 MS-DOS(FAT), 설계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 선택후 오른쪽 아래 지우기 버튼을 클릭하면 SD 카드를 포맷합니다.


 

1-3. SD메모리에 라즈비안 이미지 넣기

SD메모리 포맷이 완료 됐다면 이제 SD메모리에 라즈비안 이미지를 넣어야 할 차례 입니다.

SD 카드의 장치명을 확인해야 합니다. 맥 터미널에서  diskutil list  라고 명령어를 넣고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이 리스트가 나옵니다.


제 경우엔 장착된 SD 카드는 /dev/disk3 가 되겠습니다.


장치명을 확인했으니 이제 SD메모리를 unmount 해줍니다. 터미널에서  sudo diskutil unmountDisk /dev/disk3  를 실행시키면 SD 카드가 unmount 됩니다. (/dev/disk3는 제 경우이니 여러분들은 각자 맞는 정확한 장치명을 넣어 주시면 됩니다.)


이제 맨 위에서 다운 받은 라즈비안 이미지를 포맷한 SD 카드에 넣어줄 차례 입니다.

편의상 라즈비안 이미지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터미널에  sudo dd bs=1m if=2017-11-29-raspbian-stretch-lite.img of=/dev/rdisk3  를 입력 후 실행 시키면 몇 분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SD 카드에 이미지 넣기를 완료한 것입니다.


※ 위 명령라인에서 뒷부분 파란글자 of=/dev/... 부분이 /dev/disk3 가 아니고 왜 /dev/rdisk3 로 했느냐??? 검색해보니 맥에서는 disk3로 하는 것보다 rdisk3로 하는게 속도가 20배 가까이는 빠르다는 얘기가 있어서 rdisk3로 했습니다. 실제로 제가 테스트 해보니 disk3보다 rdisk3가 훨씬 빠르더군요.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할 SD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