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첫 부팅 그리고 초기 셋팅 #1
이전글에서 ssh 서비스 활성화와 IP 강제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이번엔 ssh 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는 방법과 라즈베리파이 이용에 필요한 초기 셋팅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3-1. ssh 첫 접속
라즈베리파이에 유선랜과 전원을 연결하고 부팅을 합니다. 넉넉잡고 2~3분 후 맥 터미널에서 ssh pi@192.168.1.150 (제 경우엔 IP를 192.168.1.150 로 강제할당 했죠. 다른 분들은 각자 설정한 IP 를 넣어 주시면 됩니다.) 입력하면 라즈베리파이에 ssh 서비스를 이용해서 접속이 가능 합니다.
첫 접속때 ~~~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 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es" 입력하면 password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pi 계정의 초기 password는 raspberry 입니다.
pi@192.168.1.150's password : 에 raspberry 를 입력하면 로그인이 됩니다.
3-2. raspi-config : Change User Password
이제 ssh 로그인후 제일 먼저 해줘야할 기본적인 셋팅을 하겠습니다.
터미널에서 sudo raspi-config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pi 계정의 default password 를 계속 이용하는 건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정보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합니다. 제일 먼저 pi 계정의 password를 변경합니다.
1. Change User Password 를 선택하시고 원하는 비밀번호로 바꿔주세요.
3-3. raspi-config : Localisation Options
4. Localisation Options 를 선택하고
I1 Change Locale 을 선택해서 언어를 설정합니다.
en_GB.UTF-8 UTF-8 은 기본으로 선택이 되어 있고 여기에 ko_KR.UTF-8 UTF-8 을 추가로 선택합니다. en_GB.UTF-8 UTF-8 은 필수 선택인 듯 합니다. 꼭 선택하세요. 다 선택하셨다면 <Ok> 를 눌러 주세요.
위 화면에서 <Ok> 를 눌러줍니다.
I2 Change Timezone 을 선택합니다.
Asia 를 선택하고 <Ok> 를 눌러줍니다.
Seoul 을 선택하고 <Ok> 를 눌러 줍니다.
3-4. raspi-config : Advanced Options
터미널에서 df -h 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합니다.
분명 32GB 용량의 SD 카드를 이용했는데 현재 사용중인 용량은 32GB에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이 경우 SD 카드 전체 용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가지 해줘야 할 일이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sudo raspi-config 를 실행 시킵니다.
7. Advanced Options 를 선택합니다.
A1 Expand Filesystem 을 선택합니다.
rapsi-config 를 빠져 나온후 sudo reboot 로 재부팅후 재 접속해서 터미널에서 df -h 를 입력합니다.
이제 32GB 용량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상으로 raspi-config 유틸을 이용한 설정을 했습니다.
'IT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PHP 7.0 설치 (0) | 2018.03.06 |
---|---|
5. APACHE 웹 서버 설치 (0) | 2018.03.05 |
4. 첫 부팅 그리고 초기 셋팅 #2 (0) | 2018.03.01 |
2. OS SD 카드 제작 후 ssh 활성화(OSX SIERRA 기준) (0) | 2018.02.26 |
1. OS 설치 (OSX SIERRA 기준) (0) | 2018.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