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OS SD 카드 제작 후 ssh 활성화(OSX SIERRA 기준)

이전글에 라즈비안 OS를 SD 카드에 넣는 방법을 설명 드렸는데요. 이번엔 라즈비안이 설치된 SD 카드를 이용해 첫 부팅하기 전에 해야할 일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16년 11월 25일 이후에 나온 라즈비안의 경우 보안상의 이유로 ssh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서 쓰시는 분들은 아래 설명하는 내용이 필요 없습니다만 라즈비안 LITE를 설치하고 헤드리스로 사용하는 경우 라즈베리파이 첫 부팅후 ssh로 접속할 수 있게 ssh 활성화 방법과 IP 강제 설정 방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2-1. ssh 활성화

맥 터미널을 실행시키고  cd /  로 root 디렉토리로 이동 합니다. root 디렉토리에 Volumes 라는 디렉토리가 보입니다. Volumes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Volumes 디렉토리에 boot 디렉토리가 보입니다. boot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ls -l  명령을 실행시키면 boot 디렉토리에 설치된 파일들이  보입니다. 이제 여기에 ssh 라는 빈 파일 하나를 생성하면 ssh가 활성화 됩니다.


 touch ssh  라고 명령어를 쳐 주면 크기가 0 인 ssh 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간단하죠???(ssh 는 반드시 소문자로 합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SD 카드를 장착하고 첫 부팅을 하면 부팅후 ssh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그러나, 라즈베리파이가 DHCP서버(공유기)로 부터 받은 IP는 모릅니다.(물론 이 상태로도 할당받은 IP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선 설명 안합니다.) 이대로는 라즈베리파이의 IP를 모르기 때문에 ssh로 접속할 수 없습니다. SD 카드 장착전 미리 한가지 작업을 더 해주면 라즈베리파이가 할당 받을 IP를 알 수 있습니다.



2-2. 라즈베리파이에 IP 강제 할당(유선랜 사용 필수)

boot 디렉토리안에 파일중 cmdline.txt 파일이 보입니다. 여기에 몇 글자 추가하게 되면 IP 를 강제 할당 받을 수 있습니다.


  vi cmdline.txt  로 cmdline.txt 파일을 연 후 맨 마지막 rootwait 뒤에 한 칸 띈 후 ip=192.168.1.150 형식으로 추가한 후 저장하고 나옵니다.

(~~~rootwait ip=192.168.1.150 이렇게 되겠죠.)

여기서 주의할 점은 192.168.1.150 은 제 예시입니다. 똑같이 안하셔도 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사용 안하고 있는 ip를 찾아서 넣어 주면 됩니다. 그리고 라즈베리파이에 유선랜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부팅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첫 부팅후 ssh 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계속 같은 IP 를 할당 받게 하려면 공유기에서 고정 IP를 주게 설정을 하거나 라즈비안에서 고정 IP 로 셋팅하시기 바랍니다. 이 내용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니 각자 장비에 맞는 방법 검색해서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IT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PHP 7.0 설치  (0) 2018.03.06
5. APACHE 웹 서버 설치  (0) 2018.03.05
4. 첫 부팅 그리고 초기 셋팅 #2  (0) 2018.03.01
3. 첫 부팅 그리고 초기 셋팅 #1  (0) 2018.02.27
1. OS 설치 (OSX SIERRA 기준)  (0) 2018.02.10

+ Recent posts